신혼부부 디딤돌대출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제공하는 복지 정책으로,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예비 결혼부부를 대상으로 저금리(연 2.55% ~ 3.85%)롤 최장 30년간 주택담보대줄을 지원 하는 제도 입니다. 자세한 신청 조건 및 금리, 신청 방법을 정리해 봅니다.


1. 신청 조건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신혼부부이며 혼인기간이 7년이내 도는 3개월 이내 결혼 예정자들이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가능 조건을 자세히 보겠습니다

1) 주택매매계약을 체결한 사람

2) 대출접수일 현재 세대주이며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사람

3) 중복대출이 없는 사람

4) 배우자 합산 연간 소득 8.5천만원 이하인 사람

5) 배우자 합산 순자산 4.88억원 이하 (2025년 기준)

6) 개인 신용도 일정 점수 이상으로 연체, 대위변제,부도 및 신용회복 단계가 아닌 사람


👉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상세설명참고)


2. 대출 금리 및 한도

신혼부부에게 특화된 정부 대출 지원 정책이므로 신청 자격만 되면 가장 저금이로 이용가능합니다. 그래서 신혼부분 뿐 아니라 생애최초, 청년등의 내집마련시 가장 먼저 알아봐야 하는 대출 이기도 합니다. 신혼부부의 경우 현재 기준은 연 2.55% ~ 3.85% 이며, 여기에 우대 금리까지 적용 받으시면 (우대 적용 최저는 1.2% 까지임) 시중 대출 금리보다 1~3%가량 파격적인 저금리 대출이 가능합니다. 우대 금리 조건을 잘 챙겨 보시길 바랍니다. 


1) 대상주택 지방이면  0.2%p 우대 

2) (가상되는 경우) 5년 변동금리 0.1%p, 고정금리 10년 0.2%p, 순수고정금리 0.3%p 추가됨

3) 다자녀 연 0.7%, 2자녀 0.5%, 1자녀 0.3% 우대 

4) 청약(종합)저축 가입 기간별 5년 이상 60회차부터 이상 납입 회차에 따라 0.3%p ~ 0.5%p 우대

5) 지방 준공 후 미분양주택 연 0.2% 를 5년간 우대

단, 우대금리적용 상한은 0.5%, 다자녀는 0.7%이며, 모든 우대조건을 다 적용혀 최종 금리가 1.2%미만이면, 최저 연 1.2%로 정해 집니다. 1.2%로 대출을 받는다면 평균 물가 상승률보다도 훨씬적은 금리이므로 메리트가 큰 대출 상품입니다.

2025-신혼부부-디딤돌대출-금리표
2025년 신혼부부 디딤돌대출 금리


👉 주택구입자금 계산하기 홈페이지 (계산기)

 

3. 신청 방법


대출 신청은 기금e든든 홈페이지 또는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며, 수탁은행인 우리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iM뱅크, BNK부산은행을 직접 방문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 대출신청 (기금e든든)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4. 대출 한도 및 이용기간


대출 한도는 최대 4억원 이내 이며, DTI 60%, LTV 80% 적용 됩니다.  이용기간은 10년, 15년, 20년, 30년 이며 비거치(대출 시작과 동시에 상환) 또는 1년 거치후 원리금균등분할상환이나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으로 상환합니다. 

👉 LTV, DTI, DSR 알아보기 

원리금균등상환? 매달 원금+이자 금액을 일정하게 산정하여 갚는 방식
원금균등상환? 매달 원금을 동일하게 갚고, 이자는 매달 남은 금액에 대해서 계산하여 갚는 방식


5. 기타 및 유의 사항

1) 신청 시기 : 소유권 등기전, 또는 등기후 3개월 이내

2) 대상 주택대상주택은 전용면적 85㎡ 이하, 지방 읍/면지역 100㎡  이하 (여기서 85㎡는 보통 국평 33~35평을 말합니다)

3) 유의 사항실거주의무제도에 해당(2년), 1주택 유지가 의무(2024년 6월 19일 이후)

👉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상세설명참고)

👉 주택구입자금 계산하기 홈페이지 (계산기)

👉 대출신청 (기금e든든)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