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대의 PC간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랩탑과 데스크탑 PC간 네트워크를 직접 연결하여 Remote Desktop Service 및 File 공유/전송 등을 편리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의 예를 참고하여 설정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PC끼리 네트워크 직접 연결 방법 (랩탑용 도킹스테이션 이용)
1. PC끼리 네크워크 케이블 연결
PC끼리 일반 랜선(RJ45)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연결 합니다. 아래의 예제는 조금 특수하여 랩탑 (도킹스테이션 사용) ↔ 데스트탑 PC간 랜선을 연결한 예제를 보여 줍니다. (파란색 선 = RJ45 케이블)
| Laptop ↔ Desktop PC 연결 |
랜선 연결 후 랩탑의 Network Connections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인터넷 (Wi-Fi) 선택) 화면을 보면 아래와 같이 Lenovo USB Ethernet 항목이 Ethernet 7 으로 잡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Ethernet 7 생성 예시 |
2. 각 PC별 Network IP Address 설정
1) 랩탑 네트워크 설정
- IP Address : 192.168.0.20
- Subnet mask : 255.255.255.0
- Default gateway : 192.168.0.10
| IP 설정 |
2) 데스크탑 PC 네트워크 설정
- IP Address : 192.168.0.10
- Subnet mask : 255.255.255.0
- Default gateway : 192.168.0.20
| IP 설정 |
3. 연결 확인 및 서비스 동작 확인
1) Ethernet 7 네트워크 항목을 Disable / Enable 함
(참고로, Authentication failed가 떠도 실제 연결은 잘 됩니다. 해당 원인은 다른 랩탑의 OS 권한 문제로 보이는데, 파악이 된다면 자세한 내용은 다른 포스팅을 이용해서 전달 예정입니다)
| Ethernet 7 (Disable, Enable) |
2) 연결 설정이 완료 되었으며, 아래와 같이 랩탑에서 Remote Desktop Service를 실행하여 데스크탑 PC로 정상 연결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랩탑에서 데스크탑으로 RDP 접속 확인 |
위와 같이 간단하게 랜선과 IP 셋팅을 통해 PC간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완료 하였습니다. 연결 후 대용량의 데이터를 더 빠르게 상호 공유하고자 한다면 Network Speed 를 1Gbps로 설정 하는 등의 응용을 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5.5.13 update]
데스크탑 PC와 랩탑사이에 도킹스테이션없이 다이렉트로 연경하는 경우 Network Property 화면의 구성은 아래와 같고, Ethernet (Lan) Card가 2번으로 잡힌 것을 볼수 있습니다. 도킹 스테이션의 네트워 케이블 연결 포트, 또는 랩탑의 포트 모두 연결 방법과 IP 설정은 동일하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결론은 랩탑과 데스크탑 PC간 RJ45 LAN 케이블로 직접 연결후 IP Address만 상호 참조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네트워크로 연결,통신 가능한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jpg)

0 댓글
자유롭게 질문해 주세요. 단, 욕설, 홍보성 댓글을 삭제됩니다!